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관광객을 끌어들이기위해 설치됐던 모노레일이 오히려 관광지 이미지를 망치는 골칫덩이가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기계 결함, 땜질식 복구, 관리 부실로 멈춰선 모노레일은 흉물로 전락했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, 홍진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전국 곳곳에서 모노레일이 들어서고 있는데요. <br> <br>그런데 운영이 중단되면서 시설이 방치되고 훙물이 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><br>모노레일 차량이 심하게 찌그러린 채 뒤집혀 있습니다. <br> <br>승객이 구겨진 천장을 힘겹게 손으로 받칩니다. <br> <br>개장 2년 만에 승강장으로 진입하던 모노레일이 탈선하는 사고로 8명이 다쳤습니다.<br> <br>1년 4개월이 지난 지금 어떻게 변했을까. <br><br>매표소 문은 굳게 닫혀 있고, 승강장 입구는 녹이 슬었습니다. <br> <br>모노레일은 사고 이후 운행이 멈춘 채 방치돼 있습니다.<br><br>부서졌던 차량은 방수포로 덮힌 채 방치돼 있습니다. <br> <br>[인근 주민] <br>"진짜 지금은 거의 애물단지, 지금 관리 자체도 제대로 안 되다 보니까. 약간 녹슬고 해서 흉물로 남지 않을까." <br> <br>통영시는 당초 보수한 뒤 재개장 할 계획이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안전진단에서 사실상 재시공을 해야한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차질이 생겼습니다. <br> <br>모노레일 건설에 들어간 돈은 117억 원, 고치는 데 100억 원 넘는 돈이 추가로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자 결론을 못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[통영 욕지섬 모노레일 관계자] <br>"다방면으로 검토가 되고 있는 상황이고, 결정은 나지 않은 상황입니다." <br><br>영남 알프스 9봉 중 1곳인 울산 신불산. <br> <br>산 중턱에 모노레일이 설치돼 있습니다. <br> <br>멈춰있는 차량엔 먼지가 가득하고, 철로엔 낙엽이 수북하게 쌓였습니다. <br> <br>지난 2018년 운행 첫 날부터 전원 장치 고장으로 멈춰선 뒤 5년 째 방치되고 있습니다, <br> <br>[등산객] <br>"고장 났으면 수리를 해야지. 수리를 해서 운행을 해야지. 운행하기 위해서 만든 거 아닙니까." <br> <br>안전검사 결과 당초 운행을 하면 안 됐을 정도로 많은 하자가 발견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설치 업체가 파산해 손을 못대고 있습니다. <br> <br>[울산 신불산 모노레일 관계자] <br>"우리가 용역도 주고 어떻게 할지 지금 방안을 연구 중에 있습니다." <br> <br>거제도에 건설된 모노레일 역시 지난해 10월 화재사고 이후 운행을 멈췄습니다. <br> <br>9월 재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막대한 수리비용이 부담입니다. <br> <br>[거제관광모노레일 관계자] <br>"올 9월에 정상 운영 시작하는 걸로, 안전 부분 확보를 위해서 소방·전기시설을 법보다 더 강화된 기준을 적용해서." <br> <br>경기 포천에 있는 모노레일도 선로 균열이 발견돼 지난 20일부터 운행이 중단됐습니다. <br> <br>전국에 운행 중인 모노레일은 61개. <br> <br>센서 오작동과 선로 균열 같은 크고 작은 사고로 운행을 중단하는 일이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최근 10년간 모노레일 등 궤도시설에서 발생한 사고는 47건. <br> <br>4건 중 3건은 정비점검을 소홀히 하거나 안전관리 부실 등이 원인이었습니다. <br><br>[김흥렬 / 목원대 항공호텔관광경영학과 교수] <br>"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이 부족한 상황에서 단기적인 성과를 위해서 그러한 사업들을 하다 보니까 이제 졸속행정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게 되는 거죠." <br> <br>일단 짓고보자는 생각만 앞선다면 관광객 유치는 커녕 애물단지가 되는 사태는 반복될 수 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현장 카메라 홍진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덕룡 김현승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br /><br /><br />홍진우 기자 jinu0322@ichannela.com